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

피임 방법들은? 피임이란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통틀어 말합니다. 피임은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또한 성관계로 전염되는 성병은 물론 성병으로 인한 난임(불임)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피임법에는 콘돔, 먹는 피임약, 자궁 내 장치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각자 선택해야 합니다. 1. 호르몬 조절을 통한 피임법 - 경구피임약 경구피임약의 경우 날짜를 계산하여 복용하게 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누구나 쉽게 시도할 수 있는 피임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배란을 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인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이 함유되어 있어 배란과 생리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경구피.. 2022. 7. 29.
RH 부적합 임신이란?(=적혈모구증) 혈액형 중 하나인 Rh식은 Rh+형과 Rh-형으로 구분되는데요. 서양에서는 Rh- 혈액형이 5명 중 한 명 정도로 비교적 그 수가 많지만, 동양인은 전체 인구의 1% 정도가 Rh-형입니다. 특히 한국인은 1,000명 중 한 명 정도가 Rh-형일 정도로 한국에서 Rh-형은 희귀한 편에 들어가는데요. 물론 Rh-형이라 해서 일상생활에는 어떠한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없습니다. 하지만 Rh-형 여성은 임신 시 태아의 혈액형이 Rh+일 때 문제가 생기는 Rh 부적합 임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Rh 혈액형은 Rh 항원 유무로 구분되며 Rh 항원이 있다면 Rh+, 항원이 없다면 Rh- 혈액형이 됩니다. Rh-형인 사람이 만약 Rh+형을 수혈받은 경우 체내 면역반응에 의해 수혈받은 Rh+ 혈액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용.. 2022. 7. 28.
습관성 유산이란? 습관 유산은 임신 20주 이전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3회 이상의 유산을 말하며, 약 1%의 여성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체 임신의 0.3%에 해당합니다. 이는 이론적으로 세 번 연속 유산될 확률인 0.34%에 비해 높으며, 유산된 태아에 대한 염색체검사를 시행해보았을 때, 산발적 유산에 비해 정상 염색체를 가진 경우가 더 많고, 이전 임신의 결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습관 유산은 근본적인 원인을 가진 질병의 형태로 파악해야 합니다. 한편 3번의 유산이 아닌 2번의 연속적인 유산인 경우에도 습관 유산에 대한 검사와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특히 두 번 중 한 번이라도 태아 심장박동을 확인한 경우, 산모의 나이가 많은 경우, 임신까지의 과정이 어려웠던 경우(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시술 후의 .. 2022. 7. 28.
유산이란? 유산이란 임신 22주 이내의 태아가 임신이 종결되는 것을 말합니다. 크게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자연유산 안에 조기 유산(임신 12주 이내 유산)과 후기유산(임신 12주 이후 ~ 22주 이내 유산)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12주 이후의 유산에는 사산계 및 매장허가증이 필요합니다. 조기 유산은 인공 유산과 자연유산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자연유산은 질병 중절을 유발하도록 하는 고의 또는 우연의 간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태아가 생존 불능한 상태가 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유산의 원인은 난 이상, 부속물 이상 등 태아 측의 것과 모채의 만성질환, 감염증, 성기 질환 등이 있는데 그밖에 불명한 것도 많습니다. 주요증상은 출혈, 하복부동통, 난의 배출 등입니다. 임신 16주까지의 .. 2022. 7. 28.